PI의 기본

 

  사업고도화 담당 이호창 전무이사

 

PI의 기본

1. PI (Process Innovation)의 정의

PI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정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조직, IT등 기업 활동의 전 부문에 걸쳐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재 구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경영개선 업무
    활동
  • 프로세스를 철저하게 재구성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조직의 자원을 총동원하여 새로운 작업 전략의 비전 설정 및 실질적인 프로세스를 디자인하는 활동으로 경영의 프로세스적
    혁신의 도구
  •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와 같은 핵심적인 경영의 성과 지표들의 비약적인 향상을 이룩하기 위해 모든 사업 활동(프로세스, 시스템, 조직)을 근본적으로 재 고려하고 급진적으로
    재설계하는 것
  • 회사 전 부문에 걸쳐 원점에서 출발하여 비효율적이고 복잡한 조직, 업무관행, 제도를 근본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 중심의 효율적이고 스피디한 경영 시스템을 이룩하는 것
  •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와 같은 기업의 핵심적 성과 면에 있어서의 극적인 향상을 얻기 위해 기업의 프로세스를 기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고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것

결국 이를 정리하면 PI (Process Innovation)란 “기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기업의 모든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재 검토하고 혁신하는 것”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PI 용어의 설명

PI라는 용어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PI는 Process Innovation의 약자인데, 이 중 Process란 무엇일까요?

Process의 정의는 “고객에게 가치를 생산해 주는 집합적인 활동들의 전체; A set of activities that, taken together, produce a result of value to a custom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Michael Hammer와 James Champy의 정의)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Process는 “기존의 조직 구조와 관계없이 Cross – Functional한 모든 업무의 시작에서 끝까지의 Activities의 총합”으로서, 이는 업무 흐름에서의 모든 일은 단위 조직 내에서의 독립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서는 안되고, 전체를 기능 횡단적(Cross-Functional) Workflow로 파악하고 모든 일을 조직의 본래 임무인 고객(외부 및 내부) 에의 서비스 제공으로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Innovation(혁신)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혁신이란 “자원 배분이나 업무 수행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 으로, 개선을 포함하여 이상이라는 “과제”의 실현에까지 도전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현업에서 “혁신”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용어의 정확한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 쇄신: “바람직한 변화”를 의식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노력하는 것
  • 개혁: 정치/사회상의 구(舊)체제를 합법적•점진적 절차를 밟아 고쳐 나가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기존의 변화 대상을 전제하고 이를 합법적이고 점진적인 노력으로 고쳐나가는
    활동
  • 발전, 개발: 양적 성장을 위한 의식적인 변화의 노력
  • 변화: 방향이 미리 전제되지 않은 가치중립적인 용어
  • 개선: 잘못된 부분을 올바른 상태로 고치거나 정상을 벗어나 있는 “문제”의 해결에 도전
  • 혁신: 슘페터(J. Schumpeter)가 말한 “창조적 파괴 과정”처럼 가죽을 만들기 위하여 지방 덩어리를 힘겹게 제거해야 하는 것처럼 자원 배분이나 업무 수행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개선을 포함하여 理想이라는 “課題”의 실현에까지 도전 (30% 이상의 변화)

 

 

3. PI의 개념

일반적인 PI의 추진 목표와 추진 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에서 추진하는 PI의 성공을 위하여는 이에 대한 전사적인 공유와 분명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1) PI의 추진 목표

회사의 비정형적인 업무 방식을 정형화함으로써 표준화하고, 측정 가능한 프로세스의 최적화를 실현함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전사 통합관리 차원의 정보 시스템을 Global
Standard에 맞게 재구축하고, 조직원의 역량을 극대화해 전사 차원의 투명하고 빠른 정보 경영 체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2) PI의 추진 목적

급변하는 기업 내/외부 경영 환경 속에서 전략, 프로세스, 조직 및 IT 인프라 전 부문을 전사적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통합된 경영혁신 활동을 통해 불황 속에서도 생존 가능한 초
일류 기업을 건설하고, 궁극적으로 주주 및 고객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입니다.

3) PI의 유래

PI는 최초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또는 Business Process Redesign의 형태로 90년대 미국에서 M. Hammer 등에 의해 처음 개념화되었고, 미국 제조업의 생산성이 일본에 뒤쳐지게 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한 혁신적인 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컨설팅 사에서 실제 적용을 통해 프로세스, 시스템, 조직의 통합 혁신 방법으로 정착시켰고, 이를 프로세스 혁신(Process Innovation)으로 정의하면서 시장에 크게 확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90년대 초 삼성전자에서 최초로 BPR과 ERP 도입을 통한 PI(Process Improvement)를 추진하였고, 이후 POSCO 등이 이를 성과혁신과 통합하여
Process Innovation으로 발전시켰습니다.

 

 

4. 기업 혁신의 수행 방법 (PI 방법)

기업 혁신을 위한 방법은 구조-기능적 접근법, 과정적 접근법 및 행태적 접근법의 3가지 방법이 있는데, 현재는 과정적 접근 방법의 프로세스에 중점을 준 경영혁신 기법으로서 PI 방법이 일반적 입니다. 이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구조-기능적 접근 방법

구조-기능적 접근 방법은 조직의 구조적 설계를 재조정하는 기업혁신의 가장 일반적인 접근방법으로 명령 통일의 원리, 부서 편성의 원리 등에 따라 기능 중복의 제거, 통솔 범위의 확대 또는 축소 등을 추진하는 방법인데, 기업의 혁신은 80년대까지만 해도 주로 구조-기능적 접근 방법에 입각하여 수행되었습니다.

2) 과정적 접근 방법

과정적 접근 방법은 조직의 업무 수행 과정 및 방법을 바꾸는 접근 방법으로서 전통적인 수단으로 OR(Operations Research)이나 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를 활용합니다. 1990년 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등 프로세스에 중점을 둔 경영혁신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행태적 접근법

행태적 접근법은 인간의 태도,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잠재적 능력을 개발해 줌으로써 혁신을 이루려는 접근 방법으로서 사회 심리학이나 행동 과학에 바탕을 두고 감수성 훈련, 팀
형성, 학습조직 육성 등의 기법을 구사하는 방법인데, 주요 관심은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조직 운영의 민주화와 자발적인 혁신 노력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5. 과정적 접근 방법의 내역

앞에서 설명한 과정적 접근법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과정적 접근방법의
4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의 성과 향상과 직결되는 접근방법
pi

 

2) 조직 전반의 혁신을 유도하는 접근법

• 조직의 3대 요소(업무, 사람, 구조) 중 업무 Process를 혁신의 기본적 변수로 인식

• 업무의 수행 절차 및 방법을 재설계 (Reengineering)함으로써 조직 전반의 혁신 유도

 

3) 업무 흐름의 최적화에 바탕을 둔 접근법

pi 2

 

4) 업무의 가시화를 통한 획기적인 변화 추구

• “보여주고 설득시켜 혁신하도록 한다”를 기본 철학으로 하여 관행적으로 수행해 온 업무흐름을 재설계
• 현실의 규칙과 관행을 부정하는 Zero –Base 사고에서 출발하여 고객의 관점에서 모든 업무를 재 사고

pi 3

 

 

Share your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