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력에게 매력 있는 직장이란?] 1. IT 인력의 특징

호웅기 영림원소프트랩 경영시스템연구소장, 경영학박사

 

바야흐로 ‘인재전쟁’ 시대이다. 물론 과거에도 사람의 중요성은 경영에 있어서 당연한 주요 요소였으나 시장의 글로벌화, 全 산업의 IT 융합이 가속화되는 요즘 시기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좋은 인력 확보와 유지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그럼, 기업에 있어 인재채용과 인재유지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이는 기업 입장에서의 비용을 따져보면 답이 나온다. 채용을 하기 위해서는 공고를 하고 선발을 하는 비용이 들어 간다. 이 과정을 통해 회사에 적합한(할 것 같은) 인력을 채용하게 되며 채용된 인력은 직무교육, 직무체험, 조직문화체험 등을 통해 그 회사 인재로 성장하게 된다. 통상 신입직원이 한 회사에 적응하여 능력을 발휘하게 될 때까지 최소 1~3년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신입직원이 입사 3년 시점에서 타사로 이직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직접교육비뿐만 아니라 조직(선배, 동료 등)의 노력, 업무단절, 업무이관, 조직사기 저하, 후임 채용비용, 다른 인력을 못 뽑은 기회비용 등을 고려하면 그 손실은 채용비용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에 더하여, 그 직원이 경쟁사로 이직한다면 그 손실은 생각하기 싫을 정도의 악몽이 된다. 이와 같이, 채용도 중요하지만 좋은 인력 유지가 훨씬 더 중요한 만큼 이 글에서는 채용보다는 유지 관점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1. IT 인력의 특징

IT 인력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IT 업종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에 IT(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정보통신) 업종이라고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 태생자체가 컴퓨터나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패키지, 시스템통합), 통신서비스, 인터넷서비스, 게임, 하드웨어(컴퓨터, 장비, 부품) 업종을 일컫는다. 한편 농업, 제조, 금융, 유통, 자동차, 의학 등과 같은 1, 2, 3차 전통산업에도 IT 기술이 적용되어 ‘융합’이라는 키워드로서 IT 업종 영역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핀테크 등 새로운 IT 융합영역이 탄생되고 있다. IT 업종 특성에 따른 IT 인력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변화 주기가 짧다. 새로운 기술 또는 업그레이드 된 IT 기술이 통상 1~2년 마다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이동통신망, 운영체계, 가전제품, 모바일앱 등을 생각해보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그 변화의 격동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기술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하든가 적어도 따라가지 못하는 기업은 결국 도태된다. 이에 따라 IT 업종에 종사하는 인력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 들이며 자신의 능력을 업그레이드해야 함을 숙명처럼 여기고 있다. 따라가지 못하면 결국 도태된다는 강박관념이 자리잡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자기계발욕구가 강해진다. IT 업계에서는 대략 50세 전후가 실질 정년이라고들 생각한다. 이는 전통보다는 새로운 지식이 선호되면서 경력에 따른 이득이 마냥 커지지 않아 결국 조로(早老)되기 때문이다.

둘째, 사업 흥망이 공장, 설비, 장비보다는 사람에 의존한다. 물론 하드웨어의 경우에는 설비 등이 중요하겠지만,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람 능력에 매우 의존하며 잘 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 간 차이가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의 가치를 인지하며 스스로를 그런 인력이라고 생각할 경우 회사로부터 거부할 수 없는 유인책을 기대하게 된다.

셋째, 업계 1등의 선점효과가 크다. 이는 시간과 공간 제약이 없는 온라인 비즈니스 특성에 기인한다. 언어 문제만 해결된다면 시공간 제약이 없는 상황에서는 가장 이름 있는 곳으로 몰릴 수 밖에 없다. 짧은 시간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결국 능력 있고 경험 있는 인력을 조기에 확보하여 실수 없이 실행해야 한다. 이러한 인력들은 끊임없이 타 기업으로부터 ‘러브 콜’을 받게 되며 현 회사와의 특별한 관계나 충성심, 적절한 대우가 없다면 흔들릴 수 밖에 없다.

넷째, 아주 복잡하거나 고도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남의 성과를 베끼기 쉽다. 생산시설 자체가 필요 없는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의 경우 전문가가 다뤄보면 쉽게 아이디어 복제가 가능하며 하드웨어의 경우에도 공장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아웃소싱을 통해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이처럼 따라 하기 쉽기 때문에 유사 제품/서비스가 우후죽순처럼 나오면서 경쟁이 더 치열하게 된다. 사람을 잘 지키지 못하여 경쟁사로 이직하게 하거나 독립하여 유사사업을 행하게 하는 사례는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다섯째, 현재보다는 미래를 먹고 산다. 태생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계속 추종해야 하기 때문이지만, 미래를 제시해야 시장을 계속 만들어내면서 첨단기업 이미지를 창출 내지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IT 기업 광고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된다. 이 같은 미래지향성은 IT 인력에게 새로운 기술과 사업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게 하는 정당성과 부담을 지어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IT 기술을 적용시킬 대상에 대한 지식(domain knowledge)이 매우 필요하며 기반기술을 만들어내는 기업이 아니라면 이 domain knowledge가 사업 핵심이 된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생물정보학, 농업IT, 스마트공장, 핀테크, O2O 등을 보면 해당업종을 이해하지 못하고는 결코 만들어 낼 수 없고 우위를 유지할 수도 없다. 이를 위해서 IT 인력은 IT 기술뿐만 아니라 특정 업종 지식도 습득하려고 노력한다. 소위 ‘융합 사고를 갖는 융합인재’가 되어야 IT 기업과 비IT 기업으로부터 각광받기 때문이다.

 

[IT 인력에게 매력 있는 직장이란?] 2. 그들을 떠나게 하는 회사 vs. 그들이 머물고 싶어하는 회사 그리고 붙잡기 위한 회사의 노력

 

<저자소개>
컴퓨터공학 학사/석사, 경영학(MIS, MoT) 석사/박사이면서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시만텍, 컴퓨터어쏘시에이트 등 글로벌 소프트웨어기업과 티맥스소프트, 사이버패트롤, 공군전산실 등 한국 IT기업에서 마케팅, 영업, 기술, 개발, 조직관리 직무를 수행한 경영전문가이다. 현재는 영림원소프트랩 경영시스템연구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howoongki@hotmail.com

 

본 콘텐츠는 HR INSIGHT 2017년 10월호에 게재된 콘텐츠를 발췌한 것입니다.

 

Share your thoughts